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상/QT27

존 칼빈의 기독교 강요 [제1권] 3장 요약 1. 사람들은 자연적으로 신성에 대한 의식이 있다. - 인류는 자연적으로 하나님을 알 수 있는 지식을 마음속에 갖고 있다고 전제한다. - 하나님은 모두에게 신성에 대한 의식을 심어주며, 계속해서 새로운 방울을 떨어뜨려 준다. - 모든 사람은 하나님이 한 분으로 계시고, 이를 알게 된다. - 실제로 마음속에 하나님이 계시다는 인상은 무엇보다도 강력하며, 사람들은 신성에 대한 의식을 갖고 있다. - 자연적인 의식을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본성의 정서를 깨뜨려 하나님에게 경배하도록 이끌 수 있다. 2. 종교가 사람들을 공포로 사로잡았지만, 일부는 신념이 없음에도 자신감이 결여되지 않는다. - 종교를 이용해 서민들에게 경외감과 공포심을 주입하여 영혼을 고분고물하게 만드는 사람들이 있다. - 하지만 종교 신념.. 2023. 12. 22.
존 칼빈의 기독교 강요 [제1권] 2장 요약 1. 하나님을 아는 것’에 대한 깊은 묘사 -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성령과 예배와 거룩한 삶에 따르는 경건한 지식 뿐만 아니라, 하나님이 계시다는 생각을 품게 되며, 더불어, 그에 대한 사실과 중요성, 유익함을 깨닫게 함. - 하지만 이러한 지식을 이해하더라도, 실제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을 구속주로 이해하는 경우와는 차이점이 존재함. - 하나님은 창조주로, 그리스도는 구속주로 등장함으로써, 두 가지 지식이 등장함. 2.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하나님의 선한 것들을 받아들이고 그분에게 복종하는 것이 중요하다. - 마음 속에 하나님을 위한 예배를 할 때, 우리는 그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 모든 것을 찾는 것보단 하나님의 선한 것에 기반한 삶을 살아가야 한다. - 하나님은 무한한 능력.. 2023. 12. 22.
존 칼빈의 기독교 강요 [제1권] 1장 요약 1. 프랑스 종교개혁자 존 칼빈의 생애와 유명작 '기독교 광야' - 존 칼빈은 프랑스 노아용에서 출생한 종교 개혁자이자 신학자로,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 성경을 유일한 텍스트로 삼고, 그것의 교사, 해석자, 수호자로서 나그네의 삶을 살기 시작한 그는 프랑스에서 벗어나 스위스에 피신하며 '기독교 광야'를 집필하기 시작했다. - 기독교 광야는 최종판이 나온 23년 후에도 초판과 차이가 없었으며, 칼빈이 처음부터 성경에 충실했으며 자기 사상에 의존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 신앙과 사상에 대한 탐구가 지식과 지혜로 이어져 나간 삶을 살았다. 2. 칼빈, 제네바의 종교 뿐 아니라 유럽, 신대륙에도 프로테스탄트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침 - 칼빈은 1536년 8월 제네바 종교개혁에 참여한 뒤 일생 동안 제네.. 2023. 12. 21.
연말 수상소감에 대한 또 다른 시각 1. 심층적인 믿음과 용기로 하나님을 공적인 자리에서 고백하는 모습에 감사함 - 강조한 간증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성공, 부(富)를 이야기하지만, 하나님을 선명하게 보고자 하는 욕구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예를 들어, 한국과 미국의 연예인들이 수상 소감에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거나, 골을 넣은 후 축구 경기장에서 기도하는 모습을 보면 믿음과 용기를 배울 수 있다. - 한국 사회의 비기독교적인 분위기 때문에 공적인 자리에서 신앙 고백하는 것은 상당한 용기가 필요하며, 공적인 자리에서 신앙 고백하는 행위는 순교 행위와도 비슷하다. - 연예인들의 결단과 용기에 감사하며, 우리도 공적인 자리에서 신앙을 부끄러워하지 말고 용기를 가져야 한다. 2. 신앙 고백은 말로 하기보다 행동으로 보여주어야 함. - 신앙의.. 2023. 12. 21.
한국 기독교 역사 총정리 1. 한국 기독교의 역사와 선교사들의 역할 - 한국 교회는 13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영성'이라는 키워드로 정의할 수 있다. - 한국 교회를 구성하는 여러 영성의 흐름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한국 교회의 형성 배경과 선교사들의 역할을 알린다. - 한국의 개신교 시작 연도는 1884년 또는 1885년으로, 호레스 알렌 선교사가 평신도로 들어온 해부터 시작된다. - 미국에서 온 장로교와 감리교 선교사들이 선교의 첫 걸음을 떼었으며, 이후 영국, 독일 등 다양한 국적의 선교사들도 들어오게 된다. - 이러한 선교사들의 역할을 통해 교파들의 분리 등 다양한 현상들이 들어오게 되었다. 2. 한국 기독교 초창기 선교사들이 가져온 복음주의적 영성 - 한국 기독교는 선교사들의 추진으로 성경, 전도, 신앙을.. 2023. 12. 20.
제직(성도)의 삶 - 교회란 어떤 공동체 인가 본문 말씀 : 사도행전 2장 43절 ~ 47절 43절 : 사람마다 두려워하는데 사도들로 말미암아 기사와 표적이 많이 나타나니 44절 : 믿는 사람이 다 함께 있어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45절 : 또 재산과 소유를 팔아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눠 주며 46절 : 날마다 마음을 같이하여 성전에 모이기를 힘쓰고 집에서 떡을 떼며 기쁨과 순전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고 47절 : 하나님을 찬미하며 또 온 백성에게 칭송을 받으니 주께서 구원 받는 사람을 날마다 더하게 하시니라 제직의 정체성 교회를 섬기는 일꾼, 주님을 섬기는 종 제직(종)의 만족은 본인의 만족과 유익이 아닌 주인을 행복하게 하는것 교회는 XX가 아니다 1. 소비자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 하는 백화점이 아니다 2. 기호에 따라 여기저기 옮겨 다.. 2023. 12.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