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프 라인/투자

미쳐버린 일본 증시, 니케이

by 이레이피씨 2024. 3. 6.
반응형

 

무려 34년 신고가, 아직도 싸다고?

1. 일본 '버블' 현상과 증시 신고가, 투자정책 변화의 역사
- 일본 증시가 *신고가*를 찍으면서 금값까지 상승, 자산가격 랠리와 *비트코인* 상승 등 '버블' 우려.
- 엔화 저평가로 *수출 난관*, 85년 플라자 합의 이후 기준 금리 하락, 자산가격 폭등.
- 부동산가격 2년 동안 *3배 상승*, 그 후 '버블' 터지며 *고점 후 폭락*.
- 1989년 최고가는 38,000포인트, 현재 4만 포인트 돌파로 *34년 만에 신고가*. '아베논믹스'와 '저평가 기업 주조 진화 정책' 중요 사건.

2. 일본 증시, 사상 최고가 돌파 및 역사적 극소점 변화.
- 일본 증시는 2월 22일에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현재 종가는 4200 포인트로 상승했으며, 34년 만에 신고라고 하면서 과거 이벤트를 언급한다.
- 1985년의 플라자 아코르드를 거치며 당시 일본이 다른 국가들과 타결한 환율 문제가 언급되었고, 당시의 엔저를 통해 미국으로 많이 수출하던 사실이 소개된다.
- 일본은 2012년을 시작으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실시했고, 2009년의 최저점을 경험한 후 주식 시장이 6배 가까이 상승하며 현재에 이르러 특히 작년 신고가 박스를 뚫으며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3. 일본증시의 엔화 약세와 주주친화 경영의 영향
- 워렌 버핏과 다른 상사들의 공개 선언을 통해, 엔화 약세에 따른 수출 기업의 성과 향상과 주식 시장 증가를 확인함.
- 엔화 약세로 인해 일본 수출 기업의 경쟁력이 높아지며, 주주친화 정책의 강제화로 기업들이 자사주를 대량 매입하여 주식시장이 성장함.
- 일본 증시 상장 기업의 순이익은 3년 연속 역사상 최고를 기록함.
- 주주친화 정책의 영향으로 작년에만 80조 원에 달하는 자사주 매입이 이루어지며, 이는 역사상 최대 규모임.

4. 한국 주식 시장에 대한 글로벌 펀드들의 변화와 버핏의 일본 투자
- 지난 10~20년 동안 중국 펀드 비중이 늘어남에 따라 한국 펀드 비중은 천천히 감소함.
- 최근 중국 비중 축소로 인해 글로벌 자금이 일본 증시에 투자하며, 버핏의 일본 주식 매수는 글로벌 투자 판단에 영향을 줌.
- 일본 국민들은 투자를 도박으로 생각하며, 금전을 보호하는 경향이 있음.
- 일본 사람들의 투자 방식은 1980년대의 *금융위기*에 대한 상처로부터 비롯되었으며, 그로 인해 신중한 투자 경향이 형성됨.

5. 일본에서의 투자 트렌드: 코인과 위스키, 부동산.
- 일본 mg세대들이 최근에는 투자심리가 좋아져 *코인*과 *위스키*로 투자하는 경향이 있다.
- 이뿐만 아니라 *부동산* 투자도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40대, 50대 중장년층은 주로 부동산을 투자한다.
- 특히 위스키는 유통 기한이 없어 *가격 상승* 시 판매로 이어지는데, 한편 *엔화 약세*가 일본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친다.
- 과거에 비해 현재 *엔화 가치가 하락*하며, 이는 일본 수출 기업에 유리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6. 환율과 주식의 상관관계: 원화 환율이 상승할 때 기업들의 영향 분석
- 환율이 두 배 상승하면 기업들의 실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상식적으로 환율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환율 변동은 기업들의 경쟁력과 수출에 영향을 미친다. 1980년대의 일본 대환포화는 환율 변화로 인해 수출 경쟁력이 감소하고 주가는 상승했던 역사적 사례를 보여준다.
- 환율이 상승하면 내수 투자는 증가하며, 이에 따라 주가도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 환율과 주식 시장은 경제상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할 때 복잡한 연관 관계를 갖는다.
- 환율 변동의 영향을 이해하며 기업들의 실적과 주가 변동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7. 환율 변화로 인한 한국인의 대처 방법
- 한국 원화 가치 하락으로 *달러 가치가 높아져* 한국인들은 여행 및 해외 쇼핑을 선호한다.
- 또한 *반값이라는 이유로* 해외 투자 자산을 살 때도 늘어난다.
- 환경 변화를 활용해 당시 *일본의 엔화강세*를 이용하여 글로벌 부동산 쇼핑을 한 예시를 소개한다.
- 과거의 *부양패턴과 달리*, 현재는 기업의 실적이 향상되는 양상이며 다른 상황임을 강조한다.

반응형


8. 골드만 삭스가 미국과 일본 증시를 'm7'와 '사무라이 7'로 비교하여 설명함.
- 골드만 삭스는 'm7'을 통해 미국 주식을 주도하는 일곱 개 중요 회사를 언급함.
- '사무라이 7'으로 설명한 *일본 버전의 'm7'*는 토요타, 미스비시, 어드반테스트, 토쿄 일렉트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러한 종목들은 미국과 일본의 증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주식 시장에 익숙한 사람들도 익숙하지 않은 종목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9. 토요타의 글로벌 1위 자동차 기업으로 성장
- 토요타는 4년 연속으로 글로벌 자동차 판매 1위를 차지하며, 매년 1천만대 이상을 판매하고 있으며 순익은 4조엔을 기록한다.
- 토요타의 시가총액은 60조엔으로, 한화로 계산하면 500조쯤 되며, 삼성전자보다 높은 시가총액을 기록한다.
- 미쓰비시, 어드밴테스트, 도쿄 일렉트론, 스크린 홀딩스는 반도체 장비 회사로, 특히 인공지능과 반도체 장비 중심으로 주목받는다.
- 어드밴테스트와 디스코는 반도체 장비 분야에서 인공지능 및 대표적인 장비 공급 업체로서 역할을 하며, 한국의 일부 기업들과 경쟁 중에 있다.

10.  주요 세계 증시 수출 주도 기업 비교 및 전략.
- 세계 주요 기업들은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출 성과가 좌우됨.
- 미국의 M7 기업은 주가 상승으로 높은 시가총액을 기록, 유럽의 올라스도 유럽 증시 주도.
- 한국 투자자는 미국 증시와 국내, 동아시아 등 다양한 증시를 주목하며, 유럽 증시도 중요시
- 스톡스 600은 유럽 연합 국가들의 주요 지수로 유럽 증시를 대변해 참고하는 것이 중요함.

11. 유럽 증시에서 대표적인 기업들과 분야, 시총 1등 변경 사항
- 대표적인 기업으로 GSK, 로슈, ASML, 네슬레, 노바티스, 로레알, LVMH, 루이비통, 아스트라제네카 등이 있음.
- 유럽 증시는 주로 제약, 바이오 회사, 명품 소비재로 구분됨. SAP는 최근에는 인공지능 관련주로 주목을 받음.
- 유럽 증시 시가총액 1등 기업이 LVMH였으나, 노보노디스크에게 자리를 내줌. 업계에서 주로 제약, 바이오 기업이 높은 시총을 유지함.

12. 스바루와 노보의 주요 사업 영역과 제품에 대한 설명
- 스바루는 *자동차 제조사*이며, 주요 사업 영역은 반도체 장비 중 일곱 개 종목 가운데 네 개를 차지한다.
- 노보는 *비만당뇨 치료제 전설*으로 유명하며, 미국의 일라이 릴리와 함께 *비만당뇨 분야 투톱 기업* 중 하나로 꼽힌다.
- 노보의 주사 제형 약물은 하루에 한 번이 아닌 *일주일에 한 번만 투여*하면 되어 한국에서 아직 판매되지 않고 있다.
- 해당 약물이 출시되면 한 번쯤은 시도해보고 싶지만, *개인적으로 주사를 무서워*하는 편이다.

13. 제약 회사 스톡 분석: PBR을 통해 평가하는 국가마다의 시장 상황
- 유럽 주도한 제약 회사들의 주가 신고가 돌파, PBR로 저평가 여부 판단.
- PBR 높을수록 고평가, 일본 증시 PBR 1.3~1.4로 낮게 유지되지만 미국 SNP 500의 경우 2.7%만 PBR 1 미만.
- 코스피 기준에서 PBR 1.1으로 글로벌 정점 대비 낮은 저평가 여부 확인 가능.

14. 외국인 투자 규모 증가, 주식시장 동향 및 투자 정책에 대한 이야기
- 한국 정책 발표로 외국인 투자가 증가하는데, 최근 1월-2월 외국인 코스피 순매수 금액이 *지난년도 최고*를 넘어 역대 최고인 11조를 기록함.
- 한국 증시의 긍정적인 반응에 힘입어 투자기업으로 일본과 유사하게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
- 주식시장에서의 *레버리지* 활용 등 투자 결정에 관한 개인적 견해와 전망을 제시함.
- 현재 주식시장 동향을 주의깊게 지켜보며, 앞으로의 투자 결정에 대한 기대를 나타냄. 유럽, 미국, 금, 비트코인 등의 시장과 연동될 수 있음을 강조.

반응형

'파이프 라인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MC의 성공 비결  (0) 2024.03.19
엔비디아 주가 추이  (1) 2024.03.14
대한민국 주가 조작이 발생하는 이유  (0) 2024.01.17
쿠팡이 파페치를 인수한 이유 ?  (2) 2024.01.04
부자의 법칙  (2) 2024.01.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