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인구 감소 해결책은 70년대생?

by 이레이피씨 2024. 7. 9.
반응형


1. 70년대생과 사회적 변화의 필요성
1) 70년대생은 현재 40대에서 50대로 접어들고 있다.
2) 이들은 정년 연장이 필요한 세대이다. 그래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기회가 될 수 있다.
3) 현재의 임금 격차는 나이와 생산성의 차이에 반드시 비례하지 않는다.
4) 과거와 달리, 보험료 대비 연금 수급 비율이 높게 설정되었지만, 이제는 지속 가능한 구조가 의문시되고 있다. 그래서 10년 후에는 많은 사람들이 연금을 수령하게 된다.
5) 그러므로, 우리의 연금 제도가 어떻게 유지될지가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2.️ 연금제도 설계와 국민 부담률 비교
1) 연금제도 설계는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조세 부담을 고려하는 부분이 중요하다.
2) 한국의 연금제도는 초기에 받는 금액이 높아, 후에는 제한을 받게 되며, MZ 세대의 수렴을 예상하고 있다.
3) 연금은 전생을 균일하게 하고, 사회에 부양을 받아야 한다는 핵심을 가지고 있다.
4) 한국의 국민 부담률이 낮아, 정부의 지원이 낮고, 조세 부담이 적은 국가 중 하나이다.

3. 우리나라 선별 복지체계와 연금 고령화 문제
1) 우리나라 복지는 선별 복지에 가깝고, 시장화로 교육, 주거, 노후 등이 운영됨.
2) 연금문제는 고령화 구조 및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젊은 세대의 부담이 크게 증가함.
3) 인구 감소 추세에 비해 연금체계 유의미함에도 중간 변경이 미비함으로 인한 균열 발생에 대해 이야기함.

4. 인구 감소로 연금계획 변화 필요성 강조
1) 인구 감소로  연금 유지 위해 '추가 보험료' 논의
2) 정년 연장, 보험료 기간 연장을 통해 연금개혁 추진
3) 연금 개혁은 정년 연장과 연금 수급 개시 연령 65세 연계
4) 법률 대정 등 연금 개혁 추진 계획

5. 고령 근로자와 정년, 연금 문제에 대한 논의
1) 고령자의 일자리 안정성과 연금 문제로 인한 고령 빈곤이 주요 이슈로 떠올랐다.
2) 고령 빈곤 해결을 위해 보다 안정적이고 탄탄한 일자리 제공이 필요하며, 역설적으로 연금을 받지 않아도 살 수 있는 나라가 더 행복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3) 저출산 문제를 넘어 다양한 선택지를 고려하며, 자산 운용의 문제, 국민 연금 운영 및 규제 등 다양한 쟁점을 고려해야 한다.
4) 국민 연금 운영의 보수적인 편성, 하이리스크한 자산 투자 제한 등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6. 새로운 인구 그룹의 영향과 한국 사회의 진화

1) 한국 사회의 변화는 경제력과 가치관 변화, 그리고 70년대생의 유니크한 특성으로 인해 인구 코트 등의 새로운 인구 그룹의 등장에 영향받는다.
2) 과거의 질서가 깨짐에 대한 경험은 90년대생 세대에게 특히 의미 있었으며, 이에 따라 70년대생의 성격도 다양한 규정과 변화를 필요로 한다.
3) 90년대의 한국 사회는 선진국의 도전과 국내 안착을 경험했으며, 이는 질서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제안과 지배적 흐름의 변경을 이끌어냈다.
4) 이러한 환경에서 58년 개띠 세대는 한국 사회의 질서를 새롭게 제안하고 변화시켰으며, 70년대 후반에 대학에 입학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다.

 


7.️ 대학입학, 고도성장, 벤처투자의 흐름
1) 대학 입학 제도 변화: 58년 개띠들의 품을 얻기 위한 대학입학제도 변화로, 인위적으로 5개 신도시가 만들어지며 40세를 향해 급격한 변화가 시작된다.
2) 고도성장의 중단: 97년 40세에 이르러 고도성장 중단으로 재벌의 망하는 시기가 도래하며 벤처 투자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게 된다.
3) 58년 개띠의 영향: 90년대 출생층은 58년 개띠의 노력으로 선진국을 만들어나가며, 70년대 출생층은 출산율 감소와 고도성장의 영향으로 변화를 겪는다.
4) 가족 구조 변화: 70년대 출생층은 형제 수도 3형제가 일반적이었고, 맞벌이 구조가 확대되며 경제력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반응형


8. 국고학번 10년간의 대학 진학률 증가와 여성의 직업참여율 상승
1) 90년대 중반, 대학 진학률이 두 배 증가한 것은 외환 자유화로 인한 물가 상승의 영향과 수출 주도형 경제 모델의 성공적인 시작으로 설명된다.
2) 고저소비 중산층의 부와 창출은 미래에 대한 투자 의식과 소비 성향 변화에 기인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대학 진학률도 증가하며 우수 사회 인재가 확대되었다.
3) 90년대에 들어 여성 직업참여율이 높아지면서 성평등 인식이 강화되었고, 회사의 남녀 고용 구조 또한 변화했다.
4) 여성들이 정규직으로 진급하는 것에서부터, 남성과의 동일한 기회 및 대우를 받는데 초점이 맞추어졌다.

 


9.️ 90년대 사회적 변화와 70년대생의 중요성
1) 90년대에는 여성들의 고학력화로 남녀 균등이 당연시되며, 가치관 다양화 발생.
2) 70년대생인 현재 40대, 50대는 중요한 소비 시장으로 성장하며, 자본주의 2.0 탄생 기회를 제공.
3) 이들은 사회 구조 변화의 중심에 서 있어 실패를 통해 혁신 기회 확대, 90년대 청년을 위한 기회 창조.
4) 한국의 자본주의발전을 이끄는 70년대생의 가치에 중점을 두어 위기를 기회로 변화하는 중요성 강조.

10.️‍ 70년대생의 상황과 전략: 정년 관련 고민과 가치관의 다양성
1) 정년은 형식적이며, 70대생들은 불안한 상황에서 다양한 가치관과 고학력을 가지고 있다.
2) 70대생의 사고결정은 선배 세대와 크게 달리며, 고정관념을 극복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 중이다.
3) 70대생이 지키려는 연령층 변화는 젊은세대와의 저항에서 오는 차이를 보여준다.
4) 젊은 20대의 저항과는 달리 70년대생 세대는 모든 부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경로를 택했으며, 대학 진학율이 감소함에 따라 사회적인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11. 70년대생에게 필요한 고용 구조 및 연금 개혁
1) 고용 구조의 변화 중요. 70년대생을 위한 구조 조정은 충격을 줄이고 자연스럽게 넘어갈 수 있게 함.
2) 정년 연장 필요. 연금 제도와 관련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중립화된 새로운 가능성 탐구 필요.
3) 정년 연장과 연금 개혁을 같이 추진해야 함. 정부와 정책의 역할 강조.
4) 고용 구조와 임금 체제, 복지 채도를 함께 고려해야 함.

 


12. 성장과 가치 전달을 위한 중년의 역할, 세대 간 소통 필요성 강조
1) 중년은 세대 간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선배 세대와 자녀 세대와의 조화로운 대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함.
2) 세대 간의 신호 전달이 필요한데, MZ세대들이 계획을 반대하는 이유를 확실히 알고 소통할 필요가 있음.
3) 미래와 복지 관련 이슈는 중요하며, 사회 이동과 교육 체제에 대한 환상을 깨고 실질적인 변경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
4) 또한, 인구 이주와 출산율의 차이에 주목하며, 부모 세대가 교육과 사회 이동에 대해 깊은 이해를 가져야 함.

13. 교육과 세대 교류에 대한 사회적 고찰
1) 고등 교육 중립화 필요: 고학력화로 대학 진학이 무리수로 이어질 수 있음.
2) 세대 교류 중요성 강조: 대학 무조건 진학이 아닌, 다양한 선택이 필요하며, 세대 간 의사소통과 교류 필요.
3) 미래에 대한 고민과 대비: 고학력자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 새로운 진화가 필요함.
4) 사회적 변화를 통한 성장: 비용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 모델 변화가 필요하며, 세대 간 교류와 이해가 필요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