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뉴스

수출 1조 돌파! 외국인들이 김에 환장하는 이유

by 이레이피씨 2024. 2. 20.
반응형

 

1. 한국산 김의 수출액 지난해 1조 돌파, 세계 김 시장의 70% 차지
- 한국에서 수산물에서 재배되는 홍조류 중 하나인 홍조류는 김을 대표하는 종류이며, 대략 진한 녹색에서 진한 붉은 색으로 변합니다.
- 한국산 김은 세계 김 시장의 70%를 차지하여, 지난해 수출액이 1조원을 돌파했습니다.
- 또한 김의 인기는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는데, 수출액이 대단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김밥 뿐 아니라 각종 스낵 등 다양한 형태로 먹을 수 있습니다.
- 그리고 김은 홍조류 중 하나이지만 국내에서 붉은 색깔의 김은 없고, 녹색과 흰색 김만 존재하여, 까만색의 김이 물속에 있을 때는 적색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2. 김(한식) 생산과 처음 부각한 학자에 대한 이야기.
- 한식인 '김'이 땅에서 뿌리를 받고, 미네랄을 이용해서 광합성을 하는 것과 달리 야외 분뇨해양 양식으로 키운다.
- 김의 생명 주기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이 있었다. 디루 베이커라는 학자는 김의 씨앗을 찾아내 밝혀냈다.
- 김이 주식으로 양식되기 시작한 것은 영국 학자의 발견 이래로 가능해졌다.
- 한국에서는 김부각 등 여러 가지 김 요리가 생겨났는데, 이것이 외국인들에게도 인기를 끌고 있다.
- 특히 일본 관광객들이 한국을 여행할 때, 김 맛집을 찾아 떠난다.

3. 일본과 미국에서도 건강식일로 인기가 높아졌으며, 한국 김은 일본 김보다 얇아서 인기가 있다.
- 일본 김은 두껍고 무게가 많이 나와 한국 김보다 맛이 별로 없어 보인다.
- 하지만 최근들어서 해조류에 대한 관심이 많이 커져, 건강식으로 인기가 있다.
- 한국 김은 얇음과 바삭한 식감, 짭짤하면서도 입에 착착 붙는 식감이 좋아 한국 케이푸드 중 인기가 많다.
- 일본 사람들도 스시 등으로 김을 많이 먹어왔으며, 일본의 역사적 경과와 이민사 흐름, 그리고 환태평양 문화 등으로 이어지며 김을 많이 선호한다.
- 최근에는 이러한 김 문화를 파악하고, 김 방식도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4. ️김 자체는 자라는 환경에서 미생물이 가진 소화효소 유전자를 가져와 생존한다.
- 김 자체에 *감칠맛을 내는*글루탐산, 아고 알라닌, 또 물을 유지하기 위해 다당류를 만들어 유지한다.
- 하지만 장 내 미생물이 이 다당류를 소화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대로 스며들어 대장까지 가게 됨.
- *한중일 삼국의 연구자들*은 미생물이 이 다당류를 분해할 수 있는 유전자를 가진 미생물을 찾아, 그 유전자를 남방에서 유래하는 김 미생물에 이식했다고 함.
- 이 고추장(imp GMP), 참기름, 마늘 등 각종 조미료를 넣어 김밥에 고소한 맛을 내며, 이를 봐도 산단위인 김자체는 영양가가 높은 식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음.

반응형


5. ️ 대한민국, 미럭물 짱! 이제는 김까지 수출하는 국가
- 한국은 아이오딘 결핍 없이, 미생물이 살 수 있는 국가.
- 한국과 일본은 숙취율이 높아, 산모들이 세 달 내내 *미역국*을 먹는다.
- 한 7~10% 정도 단백질 섭취량, 비타민 B12까지 포함하여 *김이 혈중 갑상선 노출과 영양소 섭취량을 모두 지원*한다.
- 1986년부터 김 수출을 시작한 국내 기업, 동원멸치, 이제는 해외 대형마트에서 *김제품 엄청난 인기*를 끌고 수출액은 79.1백만 달러에 달한다. 
- 김을 음식물로 즐기는 것 역시 국내 뿐만아니라 태국에서도 인기 있는 것으로 나타남.

6. ️한국이 김의 대량 생산으로 전 세계를 압도하게 되다.
- 김을 한국에서 수입하여 가공한 뒤 다시 수출하고 있다.
- 한국의 김은 양식 기술의 발달로 일본, 중국산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 김 양식은 복잡하고 많은 영양을 필요로 하는 과정이다.
- 김은 밀물과 썰물에 따라 성장하며, 부유식 양식으로 대량 생산되고 있다.

7. 한국 김의 양식 기술로 극복한 위기, 한국 김이 국제 표준이 되다
- 1980년대 한국에서는 일본의 김 수입이 중단되며 한국 김의 수급 위기가 도래했다.
-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에서 김의 양식 기술을 개발하고 자급률을 높였다.
- 한국 김의 품종 개발을 시작한 것은 2012년으로, 이때부터 한국 김은 국제 표준으로 인정된다.
- 한국의 김 생산량과 재배 방식은 일본의 표준이 되었으며, 한국산 김은 가격 경쟁력도 뛰어나다.
- 중국 김 생산량은 증가하지만 한국산 김이 가장 경쟁력 있다.

8. 한국김의 품질등급 체계가 없어서 비 김에 못미치는 가격을 받는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김 육성법 및 김 제품이 다르다.
- 한국의 기준에 따른 김의 품질등급 체계가 없어서 한국 김은 비 김에 못미치는 가격을 받는다.
- 일본김과는 반면, 방사무늬 김에 더욱 집중하면서 김을 육성한다.
- 한국의 경우 돌김 두 종류와 파레 김 등 유형이 중심을 이루는데, 이에 대한 블렌딩 방식에 따라 맛에 차이가 있다.
- 일본 김은 방사무늬 김이 거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한국 김은 70%정도 돌김을 먹는다.
- 이러한 이유로 일본사람들이 한국 김의 맛을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는 느낌을 가질 수도 있다.

9. 김의 다양한 맛과 상품화, 고급감을 탐구한다.
- 방사무늬 김은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맛이 좀 옅다.
- 김의 생장 속도가 느려 김의 종류에 따라 맛과 향이 다르다.
- 특히 돌김은 겨울에 심지어 3개월에 한 번만 생산되며 성격이 다르다.
- 한국의 토종김의 생장 환경이 현재와 같이 좋지 않아 의문이다.
- 고급김 중 풀무원의 풀몬김은 향과 맛이 좋고, 가공 방법이 다르다.
- 또 다른 기준으로는 기름지지 않고 풍부한 향과 상쾌한 느낌의 김도 등장했다.
- 김 시장이 점점 커짐에 따라 2세대 김이 등장하고 고급감도 생겨날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