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사우드 가문의 절대왕정과 흥망성쇠

by 이레이피씨 2025. 3. 26.
반응형

사우디 아라비아를 통치하는 사우드 가문의 흥망성쇠를 다룬 글입니다. 작은 부족에서 시작해 석유를 통해 세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왕가로 성장한 과정을 보여줍니다. 와하비즘과의 결합, 오일 쇼크, 미국의 퀸시 협정 등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사우드 가문의 권력 기반과 부의 원천을 분석합니다. 현재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의 개혁 정책과 권력 장악 과정, 그리고 사우디 아라비아의 미래 비전 2030을 소개하며, 전통과 혁신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려는 사우드 가문의 노력을 조명합니다. 이 글을 통해 사우디 아라비아라는 국가와 사우드 가문이 어떻게 현재의 위치에 오게 되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사우드 가문의 역사와 권력

  • 사우드 가문은 1727년 무함마드 이븐 사우드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작은 부족에서 출발하여 강력한 왕족으로 성장하였다.
  • 사우드 가문은 무함마드 이븐 압둘 와하브와의 동맹을 통해 부족을 결속시키고, 1744년에 제1차 사우드 국가인 디리아 토후국을 세워 세력을 확대하였다.
  • 현재 사우디 아라비아는 왕세자 무함마드 빈 살만의 수하에서 정치적 실권이 강력히 유지되고 있으며, 와하비즘을 통한 종교적 기반이 이들의 통치 체제를 지탱하고 있다.

 

 

2. 사우드 가문의 부활과 사우디 아라비아의 탄생

  •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총독 무함마드 알리가 와하비 세력을 토벌하라는 지시를 내리면서 디리아 토후국은 1818년에 함락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디리아 토후국의 멸망에도 불구하고 사우드 가문은 리야드로 거점을 옮기고, 1824년에 제2차 사우드 국가인 나지르 토후국을 세웠다.
  • 그러나 사우드 가문은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은 라시드 가문과의 전쟁에서 패배함으로써 1891년에 다시 멸망하게 되었다.
  • 이후 사우드 가문은 쿠웨이트로 망명했지만, 여전히 반도의 주인이 되겠다는 꿈을 포기하지 않았는데, 이는 젊은 후계자인 압둘 아지즈 이븐 사우디를 통해 실현되기 시작했다.
  • 이븐 사우디는 1902년에 기습 작전을 통해 리야드를 탈환하고 세 번째 사우드 국가를 건설하며 현대 사우디의 기초를 다졌다.

 

 

3. 사우디 아라비아의 석유와 권력

  • 사우디 아라비아는 검은 황금이라 불리는 석유를 통해 중동의 패권 국가로서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 1938년 다란 지역에서 상업용 석유가 발견되었고, 이는 미국의 석유 회사 아람코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 아람코는 한때 시가 총액이 2조 달러를 넘었으며, 현재는 세계 IT 기업들 중 상위에 위치해 있다.
  • 2023년 아람코의 매출액은 약 6600에서 700조 원이며, 영업 이익도 300조 원을 넘는 규모로, 대한민국 예산과 비교할 때 매우 큰 기업이다.
  • 사우드 가문은 아람코의 지분 대부분을 보유하고 있어, 이로 인해 부유한 왕실로 거듭났다.
  • 1945년 퀸시 협정을 통해 사우디는 미국과 석유와 안보의 맞교환을 시작하여 왕정 체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었다.
  • 1960년 오펙의 설립 이후, 사우디는 석유를 경제적 자원으로 뿐만 아니라 정치적 무기로 활용했다.
  •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중, 사우디와 오펙은 석유 감산 및 금수 조치를 발표하여 제1차 오일 쇼크를 초래했다.
  • 이 사건은 전 세계 에너지 부족과 역사적인 경기 침체를 일으키며, 사우드 가문은 석유를 통해 전 세계의 에너지 가격을 통제하게 되었다.

 

 

4. 사우디 왕가의 권력 기반과 절대왕정

  • 과거 사우디는 세금을 걷지 않고, 석유 수익으로 국민에게 보조금 및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렌티어 국가 형태로 운영되었다.
  • 국민이 세금을 내지 않으니 정치적 참여에 대한 요구가 적고, 사우드 가문은 석유를 통해 국민들의 후원자로 인식되고 있다.
  • 석유는 왕족 간의 결속을 강화하고 권력 유지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통제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 사우드 가문은 수백 명의 왕자를 두고 있으며, 이들은 석유 기업의 지분과 특혜를 나눠 가지면서 권력을 공유하고 있다.
  • 사우디와 미국의 관계는 복잡하지만, 석유와 안보를 중심으로 한 페트로 달러 시스템 덕분에 두 국가는 여전히 유착된 관계를 지속하고 있다.

 

 

5. 사우디 왕조의 계승과 빈살만의 개혁

  • 사우디 왕조는 초대 국왕 이븐 사우드 이후 형제 계승의 원칙에 따라 왕위가 세습되고 있으며, 현재는 3세대에 이르고 있다.
  • 무함마드 빈살만은 약 2조 달러의 재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공식적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 빈살만은 2017년에 부패 개혁 조치를 단행하여 200명이 넘는 고위 인사들을 체포하는 등 왕권을 공고히 하였다.
  • 빈살만의 개혁 정책인 "비전 2030"은 사우디 아라비아의 경제 구조를 석유 의존에서 탈피하기 위한 중요한 프로젝트이다.
  • 젊은 세대의 지지를 얻고 있으나, 경제난과 실업 문제로 인해 앞으로의 과제가 중대하다는 의견이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