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SNS가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심각하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여성 청소년들이 더 큰 심리적 피해를 보고 있다는 주장이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정신 건강에 심각한 위험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SNS가 청소년들의 정신적 문제의 근원으로 지목되며 공중 보건 문제로 규정되었고, 호주에서는 16세 이하의 SNS 사용을 금지하는 강력한 조치를 취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SNS에 대한 인식이 낮고, 중독 문제를 게임에 떠넘기고 있는 현실입니다. 앞으로 SNS 사용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필요하며, 부모의 보호와 관심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1. 미국 공중보건 서비스의 SNS 경고와 역사적 역할
- SNS는 청소년, 특히 여성 청소년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 미국은 이러한 문제를 공중 보건 문제로 인식하고, SNS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 미국 공중보건 서비스는 과거 담배와 비만 문제를 인식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온 기관으로, SNS의 심각성을 강하게 경고하고 있다.
- 앞으로 SNS가 담배처럼 규제의 대상으로 논의될 가능성도 있으며, 많은 선진국에서도 이러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2. SNS 사용에 대한 국제적 제재
- 호주에서는 16세 이하의 SNS 사용을 금지하는 정부의 강경 조치가 시행되었다.
- 이 조치는 극단주의 세력과의 접촉이 원인으로, 청소년이 SNS를 통해 범죄에 영향을 받았다는 사례에서 비롯되었다.
- 다른 나라들도 유사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영국은 SNS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 미국 내에서도 주마다 규제 강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아이들을 위한 알고리즘 변경과 이용 시간 제한이 실시되고 있다.
3. SNS의 심각성과 아동의 정서 발달
- 한국에서는 SNS의 심각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둔감한 경향이 있으며,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스마트폰을 일찍부터 접하게 하고 있다.
- 맞벌이 가정이 증가하면서 부모는 육아에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스마트폰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SNS에 대한 노출이 늘어나고 있다.
- SNS의 발달과 함께 청소년 우울증이 급증했으며,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감소와 관련이 있다.
반응형
4. SNS가 여성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
- 여성은 남성에 비해 소속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며, 이에 따라 SNS를 더욱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 그러나 SNS는 기대와 달리 소속감을 주기보다는 박탈감을 주며,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를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면서 좌절감을 느낀다.
- 특히 공감 능력이 뛰어난 여성은 타인의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많이 받아 우울감을 느끼기 쉬운데, 이는 SNS 사용으로 더욱 심화되고 있다.
5. SNS 중독과 도파민의 문제
- SNS는 중독과 도파민 분비의 관계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즐거움은 주지만, 만족감은 주지 않아서 반복적으로 콘텐츠 소비를 하게 만든다.
- 추천 알고리즘은 자극적인 콘텐츠를 더 많이 노출시켜 사용자들을 중독시키고, 이로 인해 더 많은 광고를 보게 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 갈등이나 혐오에서 오는 자극적인 콘텐츠의 증가로 인해 아이들이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반응형
'일상 > 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의 역사 (3) | 2024.12.28 |
---|---|
아난티가 잘나가는 이유 (2) | 2024.12.27 |
아마존의 비지니스 전력과 독점 (1) | 2024.12.23 |
자수성가의 아이콘, 벤저민 프랭클린 (1) | 2024.12.18 |
여초국가 러시아 (성비가 박살난 이유) (0) | 2024.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