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마인드

갈수록 커지는 빈부격차

by 이레이피씨 2024. 4. 15.
반응형

 


1.️트럼프 지지와 기업 양극화에 대한 고찰
   - 트럼프를 미국에서 지지하는 이유는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인한 불만을 바이든 대통령에게 돌리기 때문이다.
   - 세계적 트렌드 중 일부인 강남 자파 현상과 전세계적 기업의 성장에 대한 강염의 논쟁.
   - 양극화가 사이에서 벌어진다는 전제하에 양극화를 부인하는 주장이 위험하다는 경제학자들의 발언
   - 대한민국 통계청과 경제 학자들의 보고서에 근거해 양극화 문제를 다뤄나가는 중요성 강조.

2.세계적 소득과 정치적 성향 연구
   - 한국 과학 기술원에서 소셜 컴퓨팅을 연구하는 사회학자 이원재는 양당제 국가에서 소득 상위 10%는 대부분 좌파 정당에 투표한다고 설명.
   - 리버럴이나 좌파 이미지는 교육수준 높고 중산 계층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경향이 있으며, 세계적인 강남좌파 현상도 이와 연결.
   - 전세계적으로 중산층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한 서민 노동자들의 노랫말이 빌보드 차트에서 반영되고 논란을 불러일으킴.

3.트럼프 지지자들의 불평등과 음모론
   - 미국 노동자들이 우파의 음모론을 선호하는 이유는 노동자 계층의 불만과 불평등이 깊이 관련돼 있다.
   - 1998년과 2018년의 세계 불평등 그래프를 보면, 미국의 서민은 중국의 부자보다 가난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로 인해 미국의 서민은 전 세계적 중산층 수준으로 떨어지는 불만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는 미국의 불평등 이론들에 영향을 주고 있다.
   - 한편, 한국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지만, 미국의 중산층의 불평등을 기반으로 한 불평등 이론들이 한국 사회에 적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반응형


4.한국의 소득 불평등과 사회적 변화
   - 한국은 산업화로 인한 소득 불평등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며, 1987년 민주화를 통해 정치적 변화를 이끌어냈다.
   - 소득으로 본 국내의 불평등은 점차 개선되고 있으며, 나이와 소득 간 관계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 1987년의 민주화와 경제 호황을 겪은 사람들이 현재 체제의 부정적 면과 권리 억압에 대한 저항을 통해 변화를 이끌고 있다.
   - 경제적 변화와 불평등 문제를 통해 한국의 사회적 모습이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내부적 합의와 움직임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5.한국의 경제 성장과 불만에 대한 삶의 역사
   - 1945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OECD 회원국들에 비해 뛰어난 성장을 보였고, 불만은 개선을 위한 스스로의 저항을 통해 나아갔다.
   - 노동 시간 감소는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통계와 예외적으로 높은 노동 시간을 유지하는 싱가포르와 대만 사례를 통해 설명.
   -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주 4일 근무 시도 중이나, 한국의 지속적인 열심히 일하는 문화와 생산성 간의 관계를 고민하며 전망.
   - 노동 시간과 경제 성장 사이의 관계를 통해 과로 사회를 개선하고, 더 좋은 삶을 위한 발전 가능성에 대한 토론.

6.한국, 노동 시간 감소 & 성장성
   - 노동 시간 감소로 GDP 생산성 향상 가능성 밝혀짐.
   - 한국은 동아시아 유일하게 노동 시간 감소 & 생산성 향상 추세.
   - 한국 기업이 시장에서 효율성 추구하며 협력과 갈등 조합, 진보적 가치체계.
   - 한국은 산업화와 민주화 동시 추구하며, 세력 교체, 협력 촉진 중요시.
   - 통계 데이터를 통해 한국의 미래 방향 모색이 필요하며 이론 대신 현실적 접근 강조.

7.인류 평등과 불평등, 경제전환의 관점
   - 인류의 평등은 존재한 적이 없다. 자연스럽게 불평등이 발생해왔고 *구조*를 형성한다.
   - 부자와 가난한 나라의 재산 차이를 강조하며 *불평등 구조*는 *경제발전*과 연관이 있다.
   - 한국은 *세계경제전환* 속에서 *특별한 위치*를 가지며 다양한 시나리오를 탐구하고 *전환*을 이끌어내는 노력 소중히 여겨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