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은 북한 해커 조직을 파헤칩니다. 북한 해커 조직의 실태와 해킹 수법을 분석합니다. 특히, 국가 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사이버 안보의 현실을 보여줍니다. 이 콘텐츠는 국제 정세와 경제 현상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하며, 투자 및 정책 결정에 참고할 만한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북한 해커들과 사이버 공격의 실태
- 북한의 해커 육성 사업은 국책 사업으로, 국가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운영된다.
- 최근에 이더리움 해킹 사건에서 북한 해커 그룹 라자루스는 약 2조 원 규모의 해킹을 감행했으며, 이는 역대 최대 규모이다.
- 라자루스 그룹은 금융기관과 가상화폐 거래소를 주요 타겟으로 하며, 북한에서는 해킹 조직들이 김수키, 라자루스, 안다리엘 등 여러 개가 운영되고 있다.
- 북한 해커들은 이메일 피싱 등의 방법으로 타겟의 정보를 털어내며, 피해를 입은 기관들은 그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 북한의 해킹 조직은 지난 3년간 누적 53억 달러를 해킹했으며, 이는 북한 전체 GDP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치로, 해킹 조차 북한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1. 북한 해커 조직과 그 활동
- 북한의 해커 육성은 국책 사업으로서, 해커가 되기 위해 공부하는 젊은 층이 많다는 점이 있다.
- 북한 해킹 그룹인 라자루스는 2조 원을 해킹하는 등 역대 최대 규모의 사건을 일으켰으며, 이 사건은 이더리움과 관련이 있다.
- FBI는 이 해킹 사건을 북한의 소행으로 결론지었으며, 북한 해커들의 신상 정보가 이미 적색 수배 목록에 올라와 있다.
- 해킹 조직은 여러 개 존재하며, 라자루스, 김수키, 안다리엘 등 각기 다른 주제를 가지고 활동하고 있고, 그 중 라자루스는 금융 및 가상화폐를 타겟으로 하고 있다.
- 북한이 해킹을 강조하게 된 배경에는 1991년 걸프전과 관련된 사건이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의 정보 개입에 충격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2. ️ 소니 픽처스 해킹 사건과 북한의 인터넷 차단
- 2014년에 라자루스 그룹이 소니 픽처스를 해킹한 사건은 북한의 코미디 영화 "더 인터뷰"의 제작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 이 영화는 북한 지도자를 암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소니 픽처스는 북한으로부터 영화 제작 중단 경고를 받았으나, 해킹으로 인해 미공개 영화 자료가 강제로 유출되었다.
- "더 인터뷰"는 결과적으로 개봉되었으며, 소니는 이 사건을 바이럴 마케팅으로 활용했다.
- 같은 해 연말, 북한의 인터넷이 차단되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이는 미국의 사이버 보복으로 추측된다.
- 북한의 인터넷 차단으로 인해 댓글 수가 현저히 줄어드는 기이한 현상이 있었고, 사용자는 북한 지도자의 지령을 받을 수 없다는 댓글을 남기며 이 사건을 조명했다.
3. ️ 북한 해커 조직과 그들의 공격
- 북한 해커 조직 라자루스는 미국의 병원 서버를 공격하여 악성 코드로 의료 시스템을 마비시키고, 랜섬웨어 협박을 통해 돈을 뜯어냈다.
- 뜯어낸 돈으로 NASA를 해킹한 사건이 발생하였고, 라자루스는 북한의 3대 해킹 조직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 킴수키라는 해킹 조직은 2023년 3월에 금융 기관 및 정부 기관에 대한 해킹 경고를 받은 후, 수개월 내에 148명의 신상 정보를 빼내는 공격을 감행했다.
- 공격 방식은 이메일 피싱으로, 국회의원 보좌관을 사칭한 메일을 통해 피해자의 컴퓨터를 감염시키고 개인 정보를 털어내었다.
- 국정원은 이러한 해킹이 발생하고 피해자들이 이를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해킹의 심각성을 알렸다.
4. ️ 북한 해킹 조직과 그 영향
- 북한의 해킹 그룹인 라자루스, 안다리엘, 킴수키는 각각 방산업체, 정부 기관, 그리고 금융 기관을 대상으로 해킹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여든세 곳의 방산업체가 공격받았다.
- 뉴욕 타임즈는 북한 해킹 조직의 능력이 미국 정보국 해커보다 더 뛰어난 것 같다고 공식적으로 평가하였으며, 해킹 조직이 “두 번째 핵무기”에 해당한다는 언급도 있다.
- 북한의 3대 해킹 그룹은 지난 3년 동안 53억 달러 상당의 자금을 해킹했고, 이는 북한 전체 GDP가 300억 달러에 미치지 않는 것과 비교할 때 상당한 규모이다.
- 해킹으로 얻은 자금은 북한 GDP에 기여하며, 해킹 팀의 성과가 국가의 경제적 상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추정된다.
- 한국은 해커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이트 해커 육성이 필요하며, 해킹 경진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내는 인력 양성을 강조해야 한다.
반응형
'일상 > 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계가 탐내는 광물 ‘희토류’ (1) | 2025.03.14 |
---|---|
일론 머스크에 대한 여론 악화 (0) | 2025.03.13 |
미국이 천연가스를 팔려고 하는 이유 (0) | 2025.03.13 |
PC 방이 사라지고 있는 이유 (1) | 2025.03.12 |
차이나 엑소더스 (1) | 2025.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