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부동산 왕국, 대한민국

by 이레이피씨 2024. 11. 4.
반응형

이 글은 한국에서 국민들이 왜 이렇게 부동산 에 집착하게 되었는지를 탐구합니다. 부동산 시장 과열의 원인을 역사적, 경제적, 사회 문화적 요인들을 통해 설명하며, 특히 1960-70년대 한국의 급속한 경제 성장과 도시화가 부동산 열풍의 시작점을 제공했음을 강조합니다. 현재의 부동산 양극화 현상과 중산층의 자산이 부동산에 집중되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개인의 주거 안정 욕구가 얼마나 강력한지를 보여줍니다. 이 글을 통해 한국 부동산의 구조와 문제점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경제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1. 한국의 부동산 집착 이야기

  • 이 영상은 한국이 어떻게 부동산 왕국이 되었는지를 탐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한국 전 국민이 부동산에 집착하게 된 배경과 이유를 설명하려는 의도로 시작되었다.
  • 또한, 한국의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불패의 상태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중심으로 다룬다.
  • 영상은 참전용사 후원 기업인 임프레시와의 협업으로 제작되었다.

2. 한국 부동산 시장의 상승세와 그 요인

  • 2024년 4월부터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했으며, 8월 한 달 동안의 누적 상승률은 6.9%에 달했다.
  • 한 달 동안의 0.89% 상승이 1년으로 환산 시 10% 이상으로 증가하는데, 이는 복리로 계산할 경우 더욱 증가할 수 있다.
  • 2024년 10월 17일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 지수는 무려 30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 그러나 2024년 8월의 전국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0.12%로 수도권에 비해 덜 심각하며,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는 0.2% 하락했다.
  • 경기가 안 좋음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가격 상승 현상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화폐 가치가 하락하면서 실물 자산인 부동산의 가격이 올라가고, 이로 인해 부동산 사용료와 임대료도 오르게 된다.
반응형

3. 부동산 양극화 현상과 그 원인

  • 현재 서울 동남권 지역인 강남, 송파, 서초, 성동구가 부동산 상승률과 거래량 모두 가장 높아지고 있으며, 지방 소멸과 같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만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다.
  • 부동산 가격 상승이 일반적으로는 서민 및 중산층 거주 지역에서 활발해지지만, 현재는 고가 주택 지역인 동남권에서 자금력 있는 수요자들이 집중 투자하고 있다는 사실이 부동산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다.
  • 이러한 양극화는 부유층과 그렇지 않은 계층 간의 자산 격차를 더욱 증대시키며, 결국 사회의 불안과 치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 부동산 양극화의 배경에는 '똘똘한 한 채'라는 현상이 존재하며, 이는 세금 부담을 줄이고자 특정 고가 주택 하나를 선호하게 만든다.
  • 특히 1960, 70년대의 급속한 경제 성장과 도시화가 부동산 열풍의 시작이 되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주택 수요의 폭발적 증가와 공급 부족 문제로 이어졌다.

4. 부동산: 자산이자 주거 안정의 이중성

  • 부동산이 아파트 가격 상승과 함께 단순 주거 공간을 넘어 자산으로 여겨지게 된 현상은 재산 증식의 주요 수단으로 내 집 마련을 인식하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 한국에서 부동산은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투자처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는 다른 투자처가 부족한 상황에서 비롯된 결과로 보인다.
  • 한국 증권 시장의 상대적 발달이 늦고 주식, 채권보다 부동산 투자가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배경이 있다.
  • 주거 안정성을 추구하는 수요는 부동산 과열을 심화시키고, 이는 특정 지역의 과열을 초래하며 '좋은 곳에 살고자' 하는 욕구를 반영한다.
  • 과거 임대인에 대한 정책적 보호 부족이 현재 부동산에 대한 강한 개념을 형성하는 원인이 되었으며, 이는 정부의 주택 관련 정책과도 연결되어 있다.

5. 부동산 과열 문제와 정책적 한계

  • 그러나 한국의 부동산 과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도시 계획과 정책의 일관성이 필요하지만, 5년 주기로 정권이 바뀌어 이 일관성이 부족하다.
  • 또한, 정치 성향에 상관없이 경제 정책에서는 통계와 사례를 기반으로 한 유사성이 존재해야 하지만, 부동산 시장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정책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 중산층과 중상위 계층의 자산이 대부분 부동산에 몰려 있어, 부동산 가치가 하락할 경우 가정의 경제적 파탄이 초래될 수 있다.
  • 따라서 현재 세대에서는 부동산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고, 미래 세대에게 새로운 자산 및 투자처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이를 통해 정상적인 가격의 부동산 시장이 형성되고, 지역 간 불균형 현상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6. 부동산 양극화와 사회적 갈등

  • 현재 한국의 빈부격차는 자산, 특히 부동산에서 형성되었으며, 이는 노동 소득으로는 집을 마련할 수 없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 과거에 비해 집을 마련할 수 있는 선택권이 사라진 현대에서, 개인의 자산의 격차는 개인의 선택이 아닌 무능력감으로 인식되고 있다.
  • 사회적 갈등은 이미 진행 중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되었다.
  • 사회의 한 축인 참전 용사들이 생활고로 고통받고 있는 현실이 부동산 양극화와 직결되어 있다고 보여진다.
  • 기업이 이 참전 용사들을 돕기 위해 자원을 지원하고 혜택을 제공하는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부동산 문제의 해결을 위한 사회적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