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투자

인구 국가비상사태 선포!

by 이레이피씨 2024. 6. 24.
반응형


1.️ 대한민국의 인구 문제와 출산율 하락 현상 분석
1) 한국의 출산율 하락과 인구 소멸 가능성은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문제이다.
2) 정책 실패로 인해 청년 세대의 스트레스와 각박한 사회 구조로 인해 인구 문제는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문제이다.
3) 한국의 경제와도 연관된 초저출산 문제는 세대 부조와 세부조 행위 전제가 깊게 연관돼 있어 산업 및 경제 모델의 변화가 필요하다.

 


2.️ 한국 사회의 인구 감소로 인한 미래 전망
1)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로 출산율 하락 등이 나타나며, 생산성과 재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2) 노동력은 생산의 근본적인 변수로 이를 통해 고도 성장과 재정 활동이 가능했으나, 현재 인구 감소로 인해 이상적인 생산력 유지가 어려워졌다.
3) 고도 성장 기반에 있었던 대규모 인구가 지불한 세금과 재정활동으로 자본 분배가 가능했으며, 이는 짧은 시간 동안 고도의 성장을 이룬 원인이 됐다.

3. 인구 축소로 인한 경제 예산 감소, 최저임금 논쟁, 지역간 격차 감소
1) 인구 축소로 인한 경제 예산 감소로 인한 딜레마가 골칫거리다.
2) 일본에서 최저임금 논쟁, 중소기업 도산에 영향 미칠 가능성이 있고, 정부는 최저임금 격차 축소에 주력함.
3) 인구 축소로 미래 노동력 약화 우려, R&D 비용 중요시 제기, 중소기업 정리 필요성도 대두됨.
4) 일본에서는 최저임금 문제가 중소기업과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중요한 고려되고 있음.

 


4.️️ 일본의 부동산 상황과 한국의 출산율 비교
1) 일본에서는 빈집 증가로 2040년에 호카이도 면적만큼 빈집이 생길 전망이며, 전체 주택의 30%가 빈집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2) 도쿄와 오사카 주변에서는 젊은 세대의 이주로 부동산 시장이 활기를 띄며 주택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반면, 한국의 출산율은 낮아 가구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집값 상승을 불러일으킨다.
3) 일본의 지방은 미분양 사태와 빈집 문제로 심각한데, 한편 도쿄는 부동산 시장이 뜨겁다.
4) 한국은 현재 대한민국의 출산율이 낮아 가구수가 늘어나면서 집값이 상승하고 있는데, 일본에서는 과거 유럽의 죽음률이 높은 시기와 비교하면 출산율이 더 낮다.

 


5. 청년 세대의 사회압박과 정보과부화
1) 한국의 청년 세대는 유럽의 흑사병 시기의 강한 사회압박을 느낄 수 있다.
2) 뇌는 주변 샘플을 통해 세상 모델을 형성하며, 사회에서의 비교와 압박은 인지 모델을 생성한다.
3) 과거와 달리 정보과부화로 '플렉스'에 더욱 민감해지면서 자책감과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6. 성공 압박과 정서적 악순환
1) '어, 나이 정도 했어'와 같은 비굴한 비교로 인해 압박감이 올라가고 스탠더드는 높아져 좌절과 절망을 초래할 수 있음.
2) 좌절으로 도파민 감소로 인한 우울과 동기 부여 감소로 브레이크 발생, 긍정적 정보 처리 불가능함.
3) 주변 비교로 인해 자아평가 하락하여 우울, 무기력을 넘어 좌절과 자부심 상실로 이어질 수 있음.

반응형


7. 어린이를 키우는 한국의 전망과 현실
1) 한국의 출산률은 혼인율과 직결되며, 경제적 어려움으로 많은 사람들이 결혼을 주저하고 있다.
2) 거주비 상승으로 안정적인 주거지를 구하기 어렵고, 이로인해 가정 형성이 어려워지고 있다.
3) 부모들의 관심이 서울 중심으로 집중되는데, 이는 공부와 경제적 안정을 강조하는 한국의 사회적 현상이다.

 


8.️ 한국에서의 출산 및 서울 생활에 대한 고찰
1) 한국의 출산율은 서울을 중심으로 평균을 낮추는 이동의 문제가 있다.
2) 서울은 고밀도이며 생활이 어렵고, 가족 형성을 막는 *부정적 환경*이 지속된다.
3) 이러한 압박 속에서 자녀 양육이 어렵고, 혼자 살기는 더욱 힘들어진다.
4) 결과적으로 서울에서의 출산 및 가족 형성이 어렵고, 인구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9. 서울의 근로 소득과 성장 관련 문제
1) 서울은 근로 소득 측면에서 안정적인 주거와 출산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2) MZ 세대에게 결혼이 어려운 과정인데, 자산 소득 기대와 안정적인 고용, 주거 환경이 중요하다.
3) 잠재 성률이 낮아지고, 먹고 살기가 어려운 환경에서 출산이 어려워져서 출전이 낮아지는 상황이 발생한다.

10.️ 일본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임금 격차 문제와 세대 내 임금 격차
1) 일본에서 세대 내 임금 격차가 더 큰 문제로 여겨지며, 비정규직의 임금은 정규직의 약 60% 수준.
2) 비정규직은 점차 늘어나 여성 비중이 높아지고, 가족 형성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중요시되는 추세임.
3) 젊은이들의 안정된 직장에서 미래 계획을 세워 결혼 및 가계 형성의 안정성 확보가 중요하다.
4) 예측 가능한 사회에서 장기 계획을 세울 수 있고, 일자리의 예측 불확실성으로 개인 행복에 영향 미침.

11. 노동력, 인구 문제와 연착륙 정책의 중요성
1) 저출산 정책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연착륙 정책이다. 인구 감소는 현실이며, 그 속도를 늦추며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2) 아베는 1억 인구를 50년 뒤에도 유지하고 생산성을 늘리기를 제안했고, 키시다 총리는 100년 뒤에도 8천만 인구를 유지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강조한다.
3) 일본은 비노동 인구를 노동력으로 전환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우리나라는 청년 실업률이 높아 세대 간 갈등 요인이 된다.
4) 노동력 부족에 대비하여 연착륙에 대한 청사진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며, 속도를 늦추며 질서 있는 축소를 고민해야 한다.

12. 인구 문제를 새롭게 바라볼 때
1) 50년 뒤 4천만 목표 없음: 목표 부재와 인구 문제의 본질 구분 필요.
 2) 고령화 ≠ 노동력 재생산: 저출산과 고령화의 다른 측면 고려 필요.
3) 먼저 가보는 길: 인구 문제를 통한 질서 변화 기회 도출 가능성.
4) 과거 질서에 고착: 전통적 질서 유지 vs 혁신 차이를 인식해야 함.

반응형

'일상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란의 세금 '금투세'  (9) 2024.09.06
SK그룹, 계속되는 분사/합병  (0) 2024.06.28
미국이 코인 시장을 밀어주는 이유  (0) 2024.06.19
알짜 프랑스 주식 세일 시작  (0) 2024.06.17
금투세 설명과 오해 해소  (0) 2024.06.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