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프 라인/투자

트위치가 한국에서 버티지 못한 이유 ?

by 이레이피씨 2023. 12. 27.
반응형

트위치, 내년 2월 27일 한국 시장 철수

1. 트위치 한국 서비스 종료. 한국에서의 망 사용료 및 네트워크 비용 부담
- 아마존의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트위치'가 한국사업을 종료한다는 말이 나왔다.
- '한국에서의 망 사용료'나 '한국의 네트워크 비용 부담' 등으로 이유를 밝혔다.
- 트위치는 월간 약 2,460,000명 이용 중인 1등 규모의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이었다.
- '망 사용료'값이 생소하며 우리나라의 네트워크 비용부담이 높은 이유로 인해서 이번 결정으로 이어졌다.
- 트위치의 이번 결정이 한국시장에서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

2. 망 사용료: 한국이 월등히 비싸지만 빠른 인터넷 속도로 유명
- 한국의 망 사용료는 글로벌 기준에서 월등히 비싸다고 알려져 있다.
- 망 사용료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와 컨텐츠 제공 업체 사이에서 개별 합의를 통해 결정된다.
- 한국은 망 사용료가 높지만 인터넷 속도가 빠르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한국을 통해 망 사용료 문제가 해결되면, 이를 본 유럽 연합이 돈을 받아먹을 수 있는 기회가 되어 관심을 갖고 있다.
- 빅테크 기업도 망 사용료 문제에 대한 책임을 같이 부담하여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3. 인터넷 망 사용료와 접속료의 차이 및 증가 시나리오
- 인터넷 망 사용료는 ISP가 제공한 인터넷 망을 사용한 만큼 사용량에 따라서 부과되는 비용이다.
- 망 접속료는 인터넷 서비스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고정 비용으로, 사용량과는 별개의 개념이다.
- 영상 소비의 증가로 인해 영상 트래픽이 많이 늘어나면서 통신사들은 트래픽을 유발하는 서비스 제공업체에 추가 요금을 요구하고 있다.
- 이로 인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들은 통신망의 투자를 더 많이 해야 하여 망 사업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4. 통신망 구축에 대한 유튜버와 ISP 간의 논쟁
- 유튜버 등 *콘텐츠 제공자*들이 트래픽을 늘려가면서 *통신망 구축사*들의 비용이 상승한다는 논란이 있다.
- 한국의 KTN, SK를 예로 들어 얘기되는 이 문제는 *국내외 모든 나라에 해당*하는 문제이다.
- 망 상호 접속 개념과 관련해 KT와 페이스북이 맺은 계약에서 SK, LG와 같은 다른 통신사 고객들의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 이에 페이스북은 KT와의 계약을 유지하고 KT 고객들에게는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른 통신사 고객들은 해외 서버로 접속하게 된다.
-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인해 SK, LG 고객들이 페이스북 사용 시 속도 저하로 불편을 겪게 된다.

5.  망 중립성 소송에서 페이스북 승소, 트래픽 증가로 망 상호 접속 문제 발생
- SK, LG 고객과 KT 고객의 페이스북 데이터 속도 차별로 인한 소송 발생
- 법원에서 페이스북 승소, 데이터 차이가 크지 않다고 판단
- 트래픽 증가로 망 상호 접속 문제 발생, 테크 기업과 통신사 간 송수신 동급 제공의 필요성 제기
- 통신사들은 2티어로 분류되며, 망 상호 접속 개념에서의 차별은 허용되지 않음
- 2016년 정부의 개입으로 망 상호 접속 시 정산 문제 발생, 논란 속 발전하는 트래픽 문제

반응형


6. ️ISP의 소비자 부담 이유와 CP의 합리성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자기들 비용을 상쇄하기 위해 요금을 올리는 것은 기업의 이유이다.
- 이에 대한 논리는 첫째로, 소비자가 돈을 내지 않으면 가격을 올릴 것이라는 협박이 있다.
- 둘째로, 돈이 있는 CP(콘텐츠 제공자)는 망 사용료를 내야 한다는 것이다.
- 셋째로, 한국 기업들이 망 사용료를 내고 있는데 외국 기업들은 내지 않아 형평성 문제가 있다.
- 마지막으로, CP들은 벤츠를 팔았다고 예를 들어 고속도로 유지비용을 내는 것과 유사한 논리를 제시한다.

7.  넷플릭스 등 OTT 플랫폼과 유튜브는 미국 대형 통신사들에 대한 망 사용료 비판을 펼치고 있음.
- 넷플릭스, 유튜브 등 OTT 플랫폼의 주장은 대량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는 고객이 자신들의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비싼 요금제 신청을 하고 있으므로 망 사용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것임.
- 대형 통신사의 망 사용료 청구는 이들이 이미 고객에게 망 사용료를 청구하고 있고 또한 우리 콘텐츠를 보기 위해 거둔 비용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애초에 이중으로 청구하는 것이라는 것이 주장임.
- 하지만 이러한 주장이 맞는지는 애매한 문제임.

8. ​트위치, 네이버, 카카오의 망사용료 비교 및 넷플릭스와 아프리카TV의 회사 간 분쟁
- 트위치는 약 500억~900억 원의 망사용료를 내고 있으며, 사용자 증가로 인해 적자가 더욱 심해진다고 한다.
- 네이버와 카카오는 각각 약 700억 원과 300억 원의 망사용료를 내며, 이는 데이터 양 기준이 아닌 영상 시청 양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 넷플릭스와 유튜브는 망사용료를 납부하지 않고 있으며, 아프리카TV는 망사용료가 훨씬 적은데도 불구하고 트위치와 유사한 트래픽을 발생시킨다.
- 넷플릭스와 SK 브로드밴드 간에 망사용료 분쟁이 법정으로 이어졌으며, 2021년에 넷플릭스가 소송에서 패배하였다.

9. 기밀 유지 계약으로 SK 통신 3사와 넷플릭스가 합의
- 법원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SK텔레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망 사용료를 일부라도 지급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 정확한 금액과 합의 조건은 기밀로 유지되지만, 시장에서는 약 400억 원의 지급이 예상되었으며, 실제 금액은 확인할 수 없다.
- 이 합의를 통해 넷플릭스는 SK 통신 3사와 손잡고 협력하게 되었으며, 공개되지 않은 조건으로 소송이 종료되었다.

10. 한국 국회에서 망 사용료 강제법 생각 중
- 현재 국회에서는 망 사용료를 강제하는 법안이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아직 통과되지 않았으나, 통과되면 ISP 기업들은 망 사용료를 지불해야 한다.
- 법안 통과로 인해 넷플릭스와 유튜브 등 국외 기업들은 망 사용료를 지불해야 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한국에서의 사업을 접을 가능성도 있다.
- 이에 따라 아프리카 TV는 P2P 트래픽 분산 기술을 사용하여 망 사용률을 90% 이상 감소시키고, 기존에 비해 많은 금액을 절감하였다.
- 여러 국가에서 한국의 법안 통과 여부를 주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럽 국가나 미국의 통신사들도 망 사용료를 요구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11. ️아프리카 TV의 P2P 방식과 트위치의 실패
- P2P 방식으로 아프리카 TV는 A와 B 사이의 교환이 이뤄진다.
- 아프리카 TV는 A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B도 방송을 볼 수 있게 한다.
- P2P를 사용하는 따라서 아프리카 TV는 트래픽을 절감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한편, 트위치는 P2P 모델을 실패하여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 했다.
- 아프리카 TV는 실적으로도 좋은 결과를 기록하였으며, 코로나 여파로 성장하였으나 주가는 하락하였다.

12. ️아프리카 TV의 별풍선 수익과 네이버의 새로운 스트리밍 플랫폼
- 아프리카 TV는 BJ의 *별풍선 결제를 통해 수입*을 얻는데, 이 중 70%는 BJ에게 돌아가고, 아프리카 TV는 30%를 스스로 수수료로 가져간다.
- 적지 않은 BJ들이 많은 별풍선을 받아야 아프리카 TV의 매출이 증가하고, *BJ 1등인 사람은 올해 11개월 동안 약 310억 원, 2등은 200억 원을 벌었다.*
- 하지만, 네이버가 지금 새로운 스트리밍 플랫폼인 치지직을 런칭하면서, 네이버로 와서 방송하는 BJ들에게 혜택을 주겠다는 협상이 진행 중이다.

13. 네이버는 왜 섭이 되지 않을까요?
- 네이버의 섭에 대한 상식적인 이유로,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인 컨텐츠에 대한 제재 수위가 낮다.
- 트위치와 아프리카 TV는 제재 수위가 낮지만, 네이버는 높아서 선정적인 방송을 할 수 없다.
- 네이버는 다양한 사업과 연계 가능한 플랫폼이라고 한다.
- 트위치 스트리머들은 네이버로 가지 않고 아프리카TV Pro로 가는 것이 관심 포인트가 되었다.
- 트위치가 2월 말에 국내 사업 철수 후 치지직이 어떻게 트위치 스트리머들을 끌고 가는지 주목하는 상황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