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이 28,000개의 위성을 우주로 보내려는 이유는 단순히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려는 것을 넘어, 미국 주도의 인터넷 통신망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통신망을 구축하고, 미국과의 정보 전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의 일환입니다. 해저 케이블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미래 산업의 핵심 동력인 통신 인프라를 확보하며, 대만과의 잠재적 군사적 충돌 시 정보 통제 및 네트워크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광범위한 계획의 일부입니다. 궈왕(国网) 프로젝트와 Spacesail 프로젝트를 통해 중국은 우주 인터넷망을 구축하고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려 합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스타링크의 활약은 중국에게 저궤도 위성 통신망의 실전적 가치를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1. 중국의 위성 발사와 궈왕 프로젝트의 시작
- 2025년 2월 11일, 중국 하이난섬의 웬창 위성 발사 센터에서 로켓이 성공적으로 발사되었으나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한 공식적인 논평을 하지 않았다.
- 미국 국방부 소속 우주작전사령부는 중국의 로켓 발사 후 9대의 새로운 저궤도 위성을 발견했다.
- 현재 중국은 두 번의 로켓 발사로 총 19대의 저궤도 위성을 배치했으며, 이는 전체 계획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 중국은 2030년까지 약 13,000대의 위성을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궈왕(国网) 프로젝트로 명명하고 있다.
- 궈왕 프로젝트는 중국이 미국과의 정보 전쟁에서 자국의 인터넷 공급망과 안보를 구축하기 위한 중요한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2. 인터넷 인프라와 중국의 해저 케이블 프로젝트
- 2020년 구글과 페이스북은 12,800km 길이의 해저 케이블 프로젝트인 Pacific Light Cable Network(PLCN)을 완료했으며, 이는 미국과 아시아 간 인터넷 인프라 확장을 위한 사업이었다.
- 미국 정부는 홍콩과 연결된 케이블의 소유권 문제로 인해 승인 요청을 거부했으며, 이는 중국 정부의 정보 탈취 우려에 기인한 것이다.
- 2021년 세계은행은 태평양 섬 국가들을 잇는 해저 케이블 사업의 입찰을 진행했지만, 미국의 안보 우려로 인해 중국 기업의 참여가 금지되었고 입찰은 취소되었다.
- 세계적으로 인터넷 트래픽의 95% 이상은 해저 케이블로 이동하고 있으며, 해저 케이블의 주도권은 일본, 미국, 프랑스의 세 국가만이 보유하고 있다.
- 미국은 중국의 인터넷 인프라 확장을 막기 위해 지속적으로 반대하며, 이는 중국 정부에 큰 우려를 주고 있다.
3. 중국의 인터넷 인프라 위기 인식과 대응 전략
- 중국 정부는 미국과 G7 등 서방 국가들이 해저 케이블을 독점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이로 인해 자신의 인터넷 공급망이 차단될 위험을 깨닫게 되었다.
- 이러한 인터넷 인프라 구조가 중국의 민간 통신망과 안보에 치명적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 현대의 통신망은 AI, 로봇, 드론 등 미래 산업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며, 단순 데이터를 넘어서 산업 전반에 신경망 역할을 하고 있다.
- 데이터 전송 방식도 발전하여 과거에는 단순한 명령 전달에 그쳤지만, 현재는 복잡한 AI 기반 명령어와 다양한 결과값 분석을 포함하는 복잡한 데이터로 진화하였다.
- 중국은 독립적인 인터넷 공급망 구축을 위해 해저 케이블 산업 외에도 다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상황에 직면하였다.
4. 중국의 위성 배치 계획과 통신 인프라 혁신
- 해저 케이블은 높은 전송 속도와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자연 재해나 케이블 훼손으로 인한 위험성이 존재한다.
- 중국은 2020년 전후로 자국의 통신망 구축에 대한 신규 계획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 2021년 중국 정부는 제14차 국가 경제 및 사회 발전 5개년 계획을 통해 기존 인프라와 새로운 인프라 건설을 조정, 현대화된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 2021년 궈왕 프로젝트가 시작되어, 2030년까지 약 13,000대의 저궤도 위성 발사를 목표로 세웠다.
- 동시에 민간 주도의 Spacesail 프로젝트도 추진되며, 중국은 통신 주권 확보와 상업적 위성망 개발을 통해 미국의 기술 봉쇄에 대응하고자 한다.
5. 중국의 위성 발사 계획과 안보 전략
- 중국은 궈왕 프로젝트와 Spacesail 프로젝트를 통해 2030년 말까지 총 28,000대의 저궤도 위성을 배치하고 상용화할 계획이다.
- 이미 100대 이상의 중국 위성이 배치되었으며, 이 프로젝트는 중국의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저궤도 위성의 운영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작용했으며, 이를 통해 중국은 위성이 어떻게 실전에서 활용되는지 배운 것으로 추정된다.
- 중국은 대만과의 군사적 갈등 가능성에 대비해 위성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통제 및 군사적 연결 차단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 이러한 계획은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중국의 안보, 군사 전략, 그리고 세계적 영향력 확대와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반응형
'일상 > 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스차일드(Rothschild) 가문 (0) | 2025.04.18 |
---|---|
카지노와 향락의 도시 '마카오' (1) | 2025.04.16 |
싱가포르의 국부 '리콴유' (0) | 2025.04.14 |
딜레마와 한계에 부딪힌 유엔 '유엔' (0) | 2025.04.10 |
이란이 깨어나면, 중동의 질서가 바뀐다 (2) | 2025.04.09 |
댓글